[인터뷰] 성정현 SG생활안전 대표이사
“생명은 돈으로 살 수 없다. 안전 역시 돈으로 환산할 수 없다. 그렇기에 안전 분야의 제품 개발과 생산은 항시 완벽함을 추구해야 한다”
SG생활안전의 모기업은 CJ그룹이다. 올해 1월 새롭게 취임한 성정현 SG생활안전 대표이사는 입사 27년 차를 맞는 CJ맨이다. 줄곧 CJ그룹의 사업 부문에서 영업 등 현장과 밀접한 업무를 담당해왔다.
성 대표는 그룹 내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온리원 대상의 2017년도 수상자기도 하다. 온리원 대상은 CJ그룹 종사자 모두를 대상으로 매년 최고 직원 1명을 선발해 시상하는 제도다.
SG생활안전으로 자리를 옮기기 직전엔 대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다는 헬스&뷰티 분야에서 당당히 CJ그룹의 올리브영을 업계 1위로 만드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기업을 운영하는 대표 자리에 앉으면 쉬엄쉬엄 일할 법도 하지만 성 대표는 아직도 회사 내부에서 누구보다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다.
지금까지 늘 그래왔던 것처럼 SG생활안전에서도 직원들과 소통하며 일에 대한 성과를 함께 공유하는 걸 원하기 때문이다.
“SG생활안전의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하고 제품 라인업도 확대할 방침이다. 그 첫 번째 계획이 바로 안전 분야로의 업역 확대였다. 소방을 비롯해 해양, 생활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종합 안전 플랫폼 사업 구축을 통해 글로벌 사업자로서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성 대표는 입사 후 줄곧 현장 부서에서 일했기 때문에 안전 분야에 대한 지식이 많진 않았다. 하지만 평소 관심 있게 봐오던 리튬이온배터리와 관련된 안전용품을 SG생활안전에서 취급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특히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산업 분야로도 이어지면서 관련 분야의 산업체 수와 종사자들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문제는 화재 위험성에 대한 우려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리튬이온배터리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에너지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를 진압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직 그 누구도 뚜렷이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심각성을 절실하게 느꼈고 마침 사회공헌과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던 차에 이 사업이 답이 될 수 있을 거란 확신에 투자를 결심하게 됐다”
SG생활안전은 최근 세계 최초로 ESS 화재를 자동으로 소화해주는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또 이를 기반으로 아파트 주자창 내에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소의 자동소화시스템 개발을 추진 중이다.
리튬이온배터리용 전용 소화기와 질식소화덮개 등 화재위험을 줄일 수 있는 제품도 보급하고 있다. 아직은 해외 제품이 대다수지만 이 역시 조만간 국내 기술로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기술은 아직 정해진 길이 없다. 미래가 불확실한 데다가 비용까지 많이 들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선 이윤보다 손해를 먼저 걱정해야 하는 분야다. 하지만 안전 분야에서만큼은 기업도 사회공헌과 산업 발전, 생태계에 공헌할 수 있는 무언가를 병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그 일익을 담당함으로써 균형 있게 산업을 발전시키고 유지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성 대표에 따르면 SG생활안전은 리튬이온배터리 화재에 적응성을 가진 소화약제 생산 기술을 확보해놓은 상태다. 소화약제부터 소화기까지 원스톱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자동화 라인도 구축 중이다.
신제품 개발과 투자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SG생활안전. 하지만 대기업에 소속된 자회사란 이력 때문에 정부 기관의 정책과제 연구나 입찰에 참여가 제한되는 애로를 겪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와 관련된 안전용품 개발은 기업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정부의 규제 완화와 기업 간 협업이 무엇보다 절실하다는게 성 대표 생각이다.
“리튬이온배터리와 관련된 안전용품의 수요는 앞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날 거다. 문제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 각종 규제에 따른 제약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시험용 배터리를 구하는 것도, 보안상의 이유로 ESS 시스템을 견학하는 것도 현재로선 쉽지 않다. 기업들이 좋은 기술과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소방청 등 정부 기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 줬으면 한다”